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798건
- 2011.04.19 KAIST,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유전적 요인 규명
- 2011.04.18 Somewhere in Time (1980)
- 2011.04.14 [자료분석론] 정규분포곡선 그리기 4
- 2011.04.11 불교신문 인터뷰
- 2011.04.04 구글 API 활용을 통한 QR code 명함 만들기
글
KAIST,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유전적 요인 규명
[그림 : 카이스트 뉴스]
2011-04-18, 카이스트가 ADHD의 원인을 최초로 규명하였다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ADHD는 뇌의 신경 시냅스 단백질(GIT1)이 부족해 발생한다는 것이 그것입니다.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김은준, 강창원 교수의 공동연구팀은 ADHD 증상 아동들과 정상 아동들의 유전자 비교를 통해 GIT1 유전자의 염기 1개가 달라 이 단백질이 적게 만들어지는 아동들에게서 ADHD 발병 빈도가 2배 이상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GIT1의 유전자를 제거해 시냅스 단백질을 합성하지 못하게 하면 과잉행동을 보이고 학습능력이 떨어지며 비정상적인 뇌파(세타파)를 내는 것이 확인했으며, ADHD 증상은 성인이 되면 사라지 듯 GIT1 결핍 생쥐도 생후 7개월, 사람의 나이로 20대가 되면 ADHD 증상이 없어진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를 통해 ADHD에 대한 치료약의 개발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ADHD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전 세계 취학아동의 5%, 한국의 아동 10%(26만명)가 가지고 있으며, 미국은 15% 정도가 겪고 있다.
☆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Impact Factor 27.136)의 4월 18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
[출처] http://www.kaist.ac.kr/sub07/sub07_01_01.html?view_bid=research&view_id=1957
'[정보] 복지 이야기 > [福] 복지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의 역사와 관련한 사이트 소개 (0) | 2011.09.26 |
---|---|
부산시 사회복지(학)과 목록 (0) | 2011.07.11 |
칭찬의 역효과 (0) | 2010.12.14 |
[복지뉴스] 사회복지사 처우향상을 위한 특별법 발의 - 2010.10.22 (0) | 2010.12.04 |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한 법률안(대안) 보건복지위원회 통과 (0) | 2010.12.0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Somewhere in Time (1980)
내가 처음 이 영화를 접하게 된 것은 1995년의 어느날, 군 복무 중이었다.
미군 친구 한명이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영화라고 소개한 이 영화는 이미 1980년 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과 장면이 참 가슴에 와닿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특히 여주인공(제인 세이모어, 엘리즈 멕케나 역)의 빼어난 미모는 덩달아 빠지게 만드는 마력이 있었는데..
그리고 시간이 흘러 2011년 4월 8일, 다시금 이 영화를 보게 되었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사랑의 은하수"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으며, 주인공은 수퍼맨(1978)으로 더 유명한 크리스토퍼 리브(리차드 콜리어 역)였다.
지금도 노부인의 "Come back to me."라는 대사는 여전히 가슴을 파고든다.
포스터는 일본의 어느 블로그에서 구해왔으며, 거기에 여전히 미스테리로 남아있는 회중시계를 더했고, 주변에 지금도 귓가를 맴도는 "Come back to me."라는 대사를 함께 넣어 편집해 보았다.
연인과 함께 보면 더없이 좋을 영화 !!
'[글귀] 마음을 담다 > 記憶하고 싶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후 통첩 게임 (ultimatum game) (0) | 2012.07.23 |
---|---|
國格에 관하여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허성도 교수 강연) (0) | 2011.11.03 |
사랑하고 있다는 증거 (0) | 2010.09.25 |
행복의 원칙 (0) | 2010.09.20 |
천년의 바람 - 박재삼(1975) (0) | 2010.08.2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자료분석론] 정규분포곡선 그리기
이것들을 그리는 것이 쉽지는 않은데요~
그에 관련하여 간단한 자료를 첨부합니다.
보다시피 중앙경향을 나타내는 평균과 중앙값, 최빈값은 위 그림과 같은 관계를 갖게 됩니다.
최빈값은 말그대로 빈도가 가장 많은 변수에 관한 내용이므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며, 중앙값은 최저값부터 최고값까지 순위를 정했을 때 정가운데(누적 50%)에 해당하는 값이 될 것입니다. 또한 평균은 위 정규분포곡선의 면적의 1/2이 되는 지점이 됩니다.
각 중앙경향의 관계는 양의 왜도분포곡선(왼쪽이 짧고 오른쪽이 긴 형태)는 오른쪽 끝부분에 다른 자료값보다 매우 큰 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평균은 중앙값에 비하여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 최빈값 < 중앙값 < 평균 ]의 관계가 됩니다.
한편 음의 왜도분포곡선(왼쪽이 길고 오른쪽이 짧은 형태, 위 그림)의 경우는 왼쪽 끝부분에 다른 대부분의 자료값보다 매우 작은 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평균은 중앙값에 비하여 작아지게 됩니다.
때문에 [ 평균 < 중앙값 < 최빈값 ]의 관계가 성립합니다.
한때 평균과 중앙값의 위치에 대해서 서로 바뀌어야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무식한 방법으로 임의의 데이터 값을 만들어 몇번 시뮬레이션 해보았는데, 결국에는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임의로 데이터를 조작하면서까지 해보았는데... 안되더군요.
위 설명한 이유로 인해 그리 되는 것 같습니다.
update 2012. 06. 20. ----------------------------------
밑에 댓글에서 조언해주셔서 예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래는 바로 그 예외를 갖고 만들어 본 것입니다.
물론 필요한 몇가지 조건을 준용하지 않은 탓이긴 할겁니다만, 그 자체로도 흥미롭네요.
자세한 내용은 "양적 자료의 평균, 중앙값 그리고 최빈값에 대한 위치 비교 연구(조태경, 2006)"라는 자료를 한번 보세요.
국회도서관에서 전문을 PDF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아래는 위 그림에서와 같은 정규분포곡선을 그리기 위한 엑셀 서식과 그래프입니다.
혹시 필요하실 듯하여 첨부합니다.
'[정보] 복지 이야기 > [福] 복지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유의확률과 유의수준을 통해 본 1종오류 (2) | 2012.05.16 |
---|---|
사회복지사는 전문직인가? (0) | 2011.09.23 |
[사회복지실천론] 선덕여왕 가계도 (0) | 2009.11.11 |
Loewenberg와 Dolgoff는 윤리원칙의 우선순위 7가지 (0) | 2009.10.20 |
[자료분석론] 다중응답의 분석 : SPSS (0) | 2009.05.0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불교신문 인터뷰
불교신문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사회복지관련 인터뷰라해서..
제가 보낸 원고와는 다소 다르긴 합니다. ^^;
원본 출처 : http://www.ibulgyo.com/archive2007/201104/201104091302346987.asp
'[사진] 세상을 담다 > 因緣 속의 群像'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10월 2일 안동 (0) | 2012.09.11 |
---|---|
그림자 : 기다림조차 그림이 되는 (0) | 2012.02.28 |
사무실에서... (0) | 2010.09.14 |
숨은 사람 찾기~☆ (0) | 2010.08.20 |
한국사회복지관협회 홈페이지 홍보마당 출연 (0) | 2006.12.15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구글 API 활용을 통한 QR code 명함 만들기
그래서 준비해봤습니다.
간단 QR 코드 명함 만들기!!!
구글에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하여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여러 웹사이트에서도 쉽게 가능하긴 합니다만..
사이사이 한글로 쓰여진 부분에 자신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간단 QR코드 명함 만들기!!!
참~ 쉽죠잉~~ㅋㅋ
이도저도 귀찮으면 이런 사이트도 있습니다.
http://zxing.appspot.com/generator/
'[정보] IT정보&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짜백신 Security Shield 제거 방법 (2) | 2011.05.04 |
---|---|
USB 쓰기금지(Write-Protect) 복구방법 (12) | 2011.05.02 |
사진(이미지)과 데이터(압축)파일을 합치기 (0) | 2011.03.07 |
파일 삭제시 "모두 아니오" (1) | 2010.12.02 |
컴퓨터가 무한 재부팅 될 때 복구하기 (2) | 2010.11.27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