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투쟁 - Axel Honneth

반응형

인정투쟁

인간의 삶의 목적을 자아실현이라고 보았을 때, 호네트는 성공적인 자아실현을 위한 조건으로 타인에 의한 인정의 경험을 중요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정의 경험은 세 가지 형태로 드러나는 데, 그것이 사랑, 권리, 사회적 연대이다.

 

이를 확장하면, 인정은 곧 도덕적 정당성 확보의 기준이되며, 사회비판의 규범으로 작동한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의 3대 목적 중 하나인 사회통합은 반대로 말해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인정관계의 확대를 통해 가능해진다.

 

또한 사회적 정의(正義), 이를 설명하기 위한 부정의(不正義)의 개념은 사회적 무시, 혹은 사회적 인정요구의 훼손이라 말할 수 있으며, 정의는 사회적 갈등/저항의 원인을 어떻게 찾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인정은 곧 인간의 삶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이자, 성공적인 자아실현을 위한 조건이다.

반응형

이타적 인간의 출현

반응형

요즘 관심있게 본 것 중의 하나가 죄수의 딜레마, 그리고 그에 대한 해법으로써의 tit for tat에 대한 내용이었다.

"사람은 이타적인가?"에 대한 원론적인 질문에 대한 답찾기에서 얻은 힌트 하나..

 

http://minix.tistory.com/375  [출처] 미닉스의 작은 이야기들

여기에 보면 tit for tat을 만하로 아주 쉽게 설명해 놓고 있다.

 

그리고 사람은 어떻게 이타적인 행동을 할수 있는지에 대해 여러 게임이론을 바탕으로 풀어쓰고 검증한 것들을 집대성한 책이 바로 이 '이타적 인간의 출현'이다.

여기에는 당연히 tit for tat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다.

 


이타적 인간의 출현

저자
최정규 지음
출판사
뿌리와이파리 | 2009-08-26 출간
카테고리
정치/사회
책소개
더욱 깊고 넓어진 4년 반 만의 개정증보판, ‘이타성의 진화’와...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사람은 이타적인 존재일까 이기적인 존재일까?

사람은 왜 이타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것일까?

이에 대한 비밀을 풀 수 있다면, 사회복지사업을 해 나가는데 있어서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매트릭스(The Matrix, 1999)에서 스미스 요원은 모피어스에게 이야기 한다.

 

인간은 포유류가 아니라 바이러스와 같다고..

모든 포유류는 자연과 공존의 길을 걷는데, 인간만은 바이러스처럼 모든 것을 소비해 버리고 다른 곳으로 퍼져나가는 속성을 갖고 있기에 그렇다고 이야기 한 것이다.

[참조 : 엔하위키] https://mirror.enha.kr/wiki/%EC%8A%A4%EB%AF%B8%EC%8A%A4%20%EC%9A%94%EC%9B%90#s-3

 

 

이런 스미스 요원의 날선 지적에 작은 해답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간송 전형필

반응형

 


간송 전형필

저자
이충렬 지음
출판사
김영사 | 2010-05-03 출간
카테고리
역사/문화
책소개
조선의 문화예술사 연구가 전무하던 시대, 탁월한 심미안으로 한국...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간송 전형필 선생을 아시나요?

우리에게 익숙치 않은 이 이름, 그것이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만일 그가 없었다면 우리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지금 과연 얼마나 보고 알 수 있을까요?

 

이 이야기는 일제시대 수탈되는 우리 문화재를 지켜나가기 위한 그의 노력들을 소설의 형식을 빌어서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설같은 이야기들이 사실은 실제에 근거한 것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서울의 제일 가는 부호의 아들로 태어나, 미술에 대한 식견을 넓히고, 그 많은 재산을 일제시대 우리 문화유산을 지키는데 쏟아부었으며, 그 중에는 훈민정음 해례본, 고려청자 등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가 건립한 간송미술관은 우리나라 국보를 제일 많이 보유하고 있는 미술관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곳은 1년에 두번 무료로 개방하고 있지요.

꼭 가보고 싶은 곳 중의 하나입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C%A0%84%ED%98%95%ED%95%84

 

 

 

그리고 이 소설 속에는 또하나, 우리가 관심가져야 할 지역사회복지의 초창기 모형인 인보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settlement movement를 '이웃끼리 서로 돕는다'는 뜻의 인보(隣保)로 번역하고, 그 정신을 계승한 단체를 인보관이라 부른 역사~

 

정보는 곳곳에 있습니다. 인보관이라는 이름에 대한 근거를 엉뚱하게도 우리나라 문화재의 수호자이셨던 간송 전형필 선생에 관한 소설에서 찾을 줄이야...

 

 

 

 

반응형

Out of Poverty : 적정기술 그리고 하루 1달러 생활에서 벗어나는 법

반응형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내가 적정기술을 처음 접한 것은 모 사이트를 통해서 보게된 Q 드럼이 계기였다.

마실물을 구하기 위해 수십 수백킬로미터를 걸어야 하는 아이들, 거기에 무거운 물통을 지고 걷는 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든 고통일 것이다. 이를 해결해주는 마법같은 디자인(설계)이 있었으니 그것이 Q드럼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접하게 된 "전세계 설계자는 그들의 시간 대부분을 구매력 있는 10% 미만의 소수 소비자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바로잡아야 한다."는 폴 폴락의 이야기는 뇌전처럼 가슴을 때리고 있었다.

(http://www.bloter.net/archives/43250)

 

이것이 바로 사회복지의 개념과 다를 것이 무엇인가?

위에서 언급한 링크에 따르면, 적정기술은 ‘고액 투자가 필요하지 않고, 에너지 사용이 적으며, 누구나 쉽게 배워 쓸 수 있고, 현지 원재료를 쓰며, 소규모 사람들이 모여 생산 가능한 기술’이라고 한다.

 

세상의 문명과 각종 혜택에서부터 소외받은 이들을 위해 쓰이는 기술 "적정기술"

 

그 첫번째 책이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디자인(원제 : Design fot the Other 90%)"이라는 책이다.

하지만 현재 절판되었으며, 중고 가격은 이미 기존의 새책 가격의 2배에 달한다.

그러다가 찾게 된 두번째 책이 바로 아래 책이다.

 


소외된 90%와 함께하는 디자인: 도시편

저자
스미소니언연구소 지음
출판사
에딧더월드 | 2012-11-05 출간
카테고리
정치/사회
책소개
세상을 새롭게 만드는 디자인 [뉴욕타임스]가 극찬한 디자인과 도...
가격비교

 

아직 나도 구해보지는 못했으나, 마을만들기 등이 붐처럼 일어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현장에서 의미있는 부분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앞서 가슴을 때렸던 한마디 경구를 남겼던 폴 폴락의 저서를 찾게 되었다.

 


적정기술 그리고 하루 1달러 생활에서 벗어나는 법

저자
폴 폴락 지음
출판사
새잎 | 2012-06-08 출간
카테고리
정치/사회
책소개
[저자 폴 폴락 강연회 및 사인회] 1. 서울디지털포럼2012(...
가격비교

 

그 문장이 실린 책이 바로 'Out of Poverty(2008)'라 한다.

바로 이 책이 번역되어 출간되어 있었다. (원제 : Out of poverty: what works when traditional approaches fall)

이 책은 과거의 후원자 중심 접근이 더이상 가난한 사람들에게 탈빈곤의 대안이 될 수 없다고 역설한다.

 

어쩌면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빈곤을 대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update. 2013. 10. 12 -------------------------------------------------

드디어 폴 폴락의 책을 다 읽었다.

계속 같은 내용이 반복되어 약간의 지루함을..

그리고 하루 1$로 생활하는 이들이 아닌,

우리 같은 나라의 도시 빈민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할지는 모르겠다.

저자는 분명 가능하다고 하는데, 내가 갖는 지식과 경험의 한계는 물음표를 던진다.

어쨌든 한번더 생각해 볼만한 부분은 있을 것이다.

판단은 각자가 알아서~

반응형

'[정보] 복지 이야기 > [書] 마음의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타적 인간의 출현  (0) 2014.06.18
간송 전형필  (0) 2013.11.25
Social Diagnosis, 1917, M. Richmond  (0) 2012.09.24
Social Diagnosis  (0) 2012.09.14
다윈지능, 최재천  (0) 2012.07.23

Social Diagnosis, 1917, M. Richmond

반응형

Social Diagnosis
Mary Ellen Richmond
Russel Sage Foundation
1917, First Edition

 

드디어 Social Diagnosis(1917), Mary E. Richmond의 저서가 내 손에 들어왔다.

abebooks.com의 First Edition 검색 기능을 통해 구한 이 책은 쓰여진지 95년이나 된 책이다.


 

M. Richmond 여사는 미국의 자선조직협회의 운동가로서 Case Work을 최초로 체계화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덕분에 Case Work의 어머니라고도 불리며, Social Diagnosis(1917)와 What is Social Case Work?(1922)이라는 두권의 저서로 유명하다.

그중 한권인 Social Diagnosis 가 내 수중에 들어 왔으니..

 

 

 

 

 

 

사실 이 책 자체는 지금도 발행이 되고 있으며, Paperback의 경우는 가격도 저렴하고 구하는 것도 그다지 어렵지는 않다.
하지만 내가 갖고 싶었던 것은 내용과 더불어 사회복지의 역사였다.
그래서 굳이 1917년의 초판본을 찾았는지도..

 

 

사회복지에 관한 용어가 정립되고 기틀을 잡게 된지 100년도 채 안되는 시간,
어쩌면 남은 내 생을 더한다면 사회복지역사의 절반정도는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다시 50년 정도의 시간이 흘렀을 때, 사회복지에서 나는 어떤 자리에 어떤 모습으로 있을까?
95년 전의 이 책을 보면서, 나는 과거를 통해 미래를 투영하고 있는지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