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楞嚴] 생각 나누기에 해당되는 글 192건
- 2014.07.22 사회복지 평가에 대한 고민
- 2014.07.09 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
- 2014.06.17 시너지 효과와 링겔만 효과
- 2014.06.03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 인권 강의 교안
- 2014.01.23 생태도 .. 새로운 시도
글
사회복지 평가에 대한 고민
사회복지를 평가한다는 것에 대해 원론적인 의문과 고민이 생겨버렸다.
그 첫번째가 과연 사회복지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이다.
현재 정량평가에 대비해 정성평가라고 이름붙이고 있긴한데, 이러한 질적 평가를 하기 위한 잣대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양적 지표에 의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다보니 오류에 빠지게 된다.
fallacy of composition
양적 평가 지표로 질적 항목을 평가하는 것은 아전인수(我田引水)격이라 할 것이다.
정성평가는 질적 평가여야 하며, 그를 위해서는 질적 지표가 필요하지 않을까?
이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차원의 접근이어야만할 것이다.
관련하여 용어를 찾아보니 아직 제대로 된 용어도 모르고 있었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evaluation 이라는 단어는 과연 적절한 표현인가?
| |
appraisal - verification
찾다보니 위와 같은 표현들을 볼 수 있었다.
어떤 것이 적확한 표현일지는 나중에 더 고민해봐야겠다.
'[楞嚴] 생각 나누기 > [談] 복지 비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회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0) | 2014.10.08 |
---|---|
후원신청서 양식 리디자인 (0) | 2014.08.05 |
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 (0) | 2014.07.09 |
생태도 .. 새로운 시도 (0) | 2014.01.23 |
사례관리에 있어 민관 협력 방안 (0) | 2013.12.2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따르면,
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리고 동법 시행규칙 제23조의2(사회복지관의 운영기준)에서
라고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별표3에서는 3대 기능 10대 사업분야에 따른 사업을 수행하라고 밝히고 있다.
[별표 3] 사회복지관의 사업(제23조의2제3항 관련).hwp
그 3대 기능이 바로 사례관리기능, 서비스제공기능, 지역조직화기능이다.
첫째, 사례관리는 방법 또는 수단이지 기능은 아니다.
방법론을 갖고 기능이라고 하다보니 그에 따른 사업이 나와야하는 문제가 도출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기본적인 서비스제공과 사례관리을 구분하는 경계가 모호해진다. 사례관리를 하지 않는 사회복지서비스가 어디있단 말인가?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클라이언트를 발굴하고 이에서 사례관리로 이어지는 경우는 비일비재하다. 이때 사례관리는 당연히 해당 사회복지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이는 서비스 제공기능인가? 사례관리 기능인가?
게다가 근원적으로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에서 사례관리 보다는 위기관리에 초점을 맞출 때 더욱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시설이지 않나 생각한다. 넓은 의미에서 위기관리는 사례관리의 한 영역이 될 수 있겠으나, 그 속성은 분명히 다르다.
둘째, 사회복지관은 복지서비스를 지역사회 혹은 클라이언트에게로 연결하는 전달체계로 기능하는 곳이지 서비스 제공 그 자체가 중요한 곳은 아니다. 이는 여타의 사회복지시설과 사회복지관이 명확히 구분되는 지점이다.
체계로 이해하지 않고 기능만 강조해 버리면 사회복지관의 특장점들의 많은 부분들을 설명하기 어렵다. 신규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보급하고, 시범사업을 수행하는 등의 전통적인 사회복지관의 기능은 바로 이런 장점을 살린 선례들이다. 그러한 장점을 버리고, 무엇을 하는 곳인지 모르겠다는 정체성 논란을 얘기하는 것은 우스운 꼴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셋째, 지역조직화는 사회복지관은 태생적 기능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요즘 홍수처럼 쏟아지는 마을만들기를 보면서 느끼는 것은 사회복지의 본질인 사회적 배제에 대한 관점은 어디로 갔는가이다. 사람과 그 사람의 배제에 대한 주제를 잃어버린다면 사회복지라고 부르기 어려워진다. 도시재생과도 확인히 구분지어지는 부분이다.
한편 사회복지관만큼 마을만들기의 허브(Hub)로 기능할 수 있는 큰 잠재력과 많은 선행 경험을 갖고 있는 곳은 찾기 힘들다. 사회복지관에서 필요에 따른 마을만들기 사업을 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겠지만, 무조건적인 마을만들기는 지양되어야할 것이다. 오히려 여러 마을을 잇고(소통), 지원하는(공유)하는 기능이 더욱 적절한 곳이 바로 사회복지관인 것이다.
법에 명시된 3대 기능, 그럼에도 이러한 딴죽을 걸어보는 것은 그만큼 사회복지관의 기능에 대한 몰이해가 안타깝기 때문이다.
사회복지관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관의 기능정립과 이를 통한 정체성 회복, 현대 사회복지서비스의 모태가 된 사회복지관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楞嚴] 생각 나누기 > [談] 복지 비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원신청서 양식 리디자인 (0) | 2014.08.05 |
---|---|
사회복지 평가에 대한 고민 (0) | 2014.07.22 |
생태도 .. 새로운 시도 (0) | 2014.01.23 |
사례관리에 있어 민관 협력 방안 (0) | 2013.12.24 |
부산시 사회복지관이 무능하다는 증거 (0) | 2013.12.09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시너지 효과와 링겔만 효과
우리는 사회복지에서 협업을 이야기 하면서 시너지(synergy) 효과를 강조한다.
하지만 현실에도 그러할까?
독일의 심리학자 링겔만(Ringelmann)은 줄다리기 실험을 통해 1+1이 2가 아닌 그 이하로 줄어드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효과를 그의 이름을 따 링겔만 효과라 부르며 시너지 효과의 반대적 표현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시너지 효과를 믿고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시너지 효과를 얻을 것이냐이다. 그냥 사람을 모아만 놓는다고 시너지 효과가 창출되지는 않는다. 그를 위한 방법과 전략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시너지 효과와 링겔만 효과의 사례는 아래 링크한 PDF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http://img.shinhan.com/cib/ko/data/FSB_0806_06.pdf
2013/11/29 - [[정보] 복지 이야기/[IT] 사회복지정보화] - 사회복지시설에서의 IT활용과 협업
'[楞嚴] 생각 나누기 > [情] 사회복지정보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대 가족을 위한 사이버복지관의 설립과 역할 (0) | 2017.01.05 |
---|---|
엑셀로 만들어본 후원금 수입사용 관리 (0) | 2015.01.12 |
한글2010 개인정보보호 기능 (0) | 2014.01.10 |
오피스 차원에서의 전자결재 시스템 개발 제안 (0) | 2014.01.10 |
사회복지와 사진 (0) | 2013.12.3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 인권 강의 교안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보수교육에서 활용한, 인권강의 교안입니다.
※ 활용 동영상 : YouTube
▷ 프랑스 전력청
http://www.youtube.com/watch?v=0-N_n-ut5TQ
▷ 지식채널e : 차별의 발견
http://www.youtube.com/watch?v=moQYtoH6wR4
▷ 갤럭시S4 LTE 광고 : 끝말잇기 편
http://www.youtube.com/watch?v=J5m8MhWr3Xc
'[楞嚴] 생각 나누기 > [權] 사회복지와 인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권위, 제4기 인권증진 3개년 계획 마련 (0) | 2014.10.07 |
---|---|
디지털프라이버시권에 대한 보고서 (0) | 2014.07.29 |
사회복지사의 인권 (0) | 2013.12.13 |
사회복지대상과 인권 (0) | 2013.12.13 |
사회복지사업과 인권 (0) | 2013.12.13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생태도 .. 새로운 시도
사례관리 교육을 듣고 난 이후, 고민을 해본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생태도의 작성방법이었다.
전통적인 방식의 생태도는 클라이언트를 중심으로 한 긍정적·부정적 자원의 여부를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현재 그 클라이언트를 위한 핵심 과업이 무엇인지에 대한 것을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다른 클라이언트와의 비교 또한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보고자 새로운 형태의 생태도를 그려보면 어떨까 하는 고민을 아래의 그림으로 구현해 보았다.
우선 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1. 기존의 생태도와 달리 개인적인(private), 공적인(public), 사회적인(community) 지지체계로 3분하여 구성하였다. 이상의 각 체계는 어느 것이 더 클라이언트와 근접하느냐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물론 어느 정도 우선순위를 부여해 본 것이지만, 개별적인 클라이언트의 상황에 따라 해석은 분분할 수 있다.
이 생태도의 목적은 클라이언트를 중심으로 지지체계의 우선순위에 대한 합의와 현재 클라이언트의 지지체계들이 어디에 집중적으로 분포해 있으며, 어떤 약점이 있는가를 파악하는데 있다.
2. 위 이미지는 예시이며, 지지체계의 구성요소들은 얼마든지 추가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설계해 보았으며, 작성방법은 현재 클라이언트를 중심으로 존재하는 지지체계에 대해서만 표시하면 되며, 위 샘플을 기반으로 추가하여 작성하거나, 없는 지지체계는 삭제할 수 있다.
additional
이전 버전에서 억지로 3P로 구성하였던 것을 보다 합리적 표현으로 수정하였다.
동심원 배치에서 4사분면을 활용한 순환으로 표현해 보았으며, 마지막 4사분면을 갈등관계로 정의해 보았으며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다.
작성방법은 동일하게, 각 영역의 사분면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을시 삭제하면 되며, 추가사항은 얼마든지 임의로 더할 수 있다.
또한 작성 샘플을 작은 원으로 하여 표현해 두었으나 실제 활용에서는 이 원들을 모두 배제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설계해 보았으며, 작성방법은 현재 클라이언트를 중심으로 존재하는 지지체계에 대해서만 표시하면 되며, 위 샘플을 기반으로 추가하여 작성하거나, 없는 지지체계는 삭제할 수 있다.
기존의 생태도라는 훌륭한 도구가 있음에도 그 한계를 생각했기에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자 한다. 개인적인 생각과 시도는 여기까지이다. 좋은 생각이 덧대어지고 다듬어본다면 보다 나은 모델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지 않을까?
개발 History
'[楞嚴] 생각 나누기 > [談] 복지 비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 평가에 대한 고민 (0) | 2014.07.22 |
---|---|
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 (0) | 2014.07.09 |
사례관리에 있어 민관 협력 방안 (0) | 2013.12.24 |
부산시 사회복지관이 무능하다는 증거 (0) | 2013.12.09 |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타살을 종용하는 부산시 (3) | 2013.11.26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