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에 관한 조금은 위험한 생각

반응형

※ 경고 ※



이 공간에는 사회복지에 관한 다소 위험한 이야기들을 해볼까 합니다.
어쩌면 우리가 사회복지를 이야기하면서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들..
그것들에 대해 과연 진짜 그러한가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장이 될 것입니다.

또한 여기에 담기는 내용들은 다소 근거가 빈약할 수도 있으며, 억지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아주 빈약한 사회복지에 대한 가치와 원칙, 대응논리들을 찾기 위한 작은 시도는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하나씩 하나씩.. 시작해 갑니다.
반응형

한국사회복지사윤리강령

반응형

한국사회복지사윤리강령.hwp



2001년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기존의 10개 조항에서 대략 10여페이지의 장문으로 구성된 지금의 윤리강령으로 변경된다.
어쨌든 지금의 윤리강령은 다분이 많은 논쟁거리를 갖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사회복지사 윤리"라고 했을 때 협의의 직업윤리에서부터 광의의 사회윤리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복지사를 전문가로서 우리 스스로 그리고 외부에서도 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윤리강령이 만들어져야 하지 않을까?
이에 지금의 윤리강령이 갖는 몇가지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사견을 정리해 본다.

첫째, 사회윤리로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정의할 것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을 읽어본 사람 대부분의 첫반응은.. "어렵다" 이다.
사회복지사인 우리가 읽어도 어렵다. 도대체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는지 와닿지도 않을 뿐더러 몇번을 읽어도 이해가 안된다.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이라면 누구나 이 글을 읽고 "아~~ 사회복지사는 이러한 사람이구나"라고 이해할 수 있게 작성되어져야 한다고 믿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