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우? 장애인!!

반응형
최근 동아일보 독자란에 '장애인'이 아닌 '장애우'란 표현을 쓰자는 주장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이들이 은연 중에 '장애인'을 '장애우'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심지어 특정 대선 후보는 TV토론회에서 '장애우'란 표현을 공개적으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사회에서 격리되고 비정상적인 인간으로 분리되었던 '장애인'을 보다 친근하게 인간적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장애우'란 표현은 장애인을 비주체적이고 비사회적인 인간으로 형상화하고 구조화해 내는 단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사회집단 또는 계급, 계층을 표현하는 개념 또는 단어는 1인칭, 2인칭, 3인칭 모두가 가능한 표현으로 쓰여집니다. 예를 들어 '노동자'나 '여성'의 경우 타인 뿐만 아니라, 자신도 '노동자, 여성'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장애우'란 표현은 타인이 나(장애인)을 지칭하거나 부를 때에만 가능한 것이지, 내(장애인)가 나(장애인)를 지칭할 때에는 절대 쓸 수 없는 용어입니다.
즉, 집단을 지칭하는 표현은 모든 인칭에서 쓰여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장애우'라는 표현은 1인칭에서는 쓸 수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장애우'란 표현은 사회집단 또는 계급, 계층을 표현하는 단어가 아니며 장애인을 사회집단, 계층이 아닌 비사회적인 집단 혹은 개인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장애우'란 표현은 '장애인'스스로가 자신을 지칭할 수 없기 때문에 비주체적인 인간의 모습을 형상화합니다.
특정 집단을 지칭하는 개념이나 단어는 그 집단의 정체성(정치,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집단의 위치, 또는 사회적 관계)을 표현함과 동시에 주체적인 의식을 표현하는 것인데, 스스로가 자신을 지칭하지 못하는 것은 스스로가 주체적인 자신의 정체성을 거부하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장애우'란 표현은 장애인 운동이 발전되어 온 역사에도 역행됩니다.
지난 시절 장애인을 재활 대상으로 바라보았던 '재활 패러다임'에서는 장애인은 자신의 삶의 주체가 아니었습니다. 이에 대항해 장애인 당사자 스스로가 권리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운동이 전개되었고 그것이 오늘날 '자립생활 패러다임'입니다.
'장애인'을 비주체적 인간으로 그려 내는 '장애우'란 표현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장애인을 삶과 권리의 주체로 내세우기 위한 장애인 운동의 시계를 뒤로 돌리고 있는 것입니다.

일부에서는 '장애우'라는 부드러운 표현이 장애인들에게 편하게 다가갈 수 있지 않느냐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비사회적이고 비주체적인 그리고 자신의 사회적 정체성을 부정하는 용어를 써 가면서까지 '장애우'를 고집한다는 것은 또 다른 의미에서 장애인을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장애인이든 장애우든 상관없이 자신이 편한 대로 쓰면 되지 않느냐'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집단을 지칭하는 개념이나 단어는 그 집단의 사회적 관계와 위치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누군가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 했습니다.
언어의 힘은 매우 강합니다. 특히 집단을 지칭하는 개념이나 단어의 힘은 더욱 강합니다.
예를 들어 '여교사, 여학생' 등의 표현은 여성의 사회적 관계를 왜곡되게 표현하고 이를 강화해 내는 역할을 했습니다. 더 이상 편의주의에 사로잡혀 장애인을 비주체적, 비사회적인 인간으로 왜곡하는 '장애우'란 표현을 써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리고 장애인의 인권과 복지를 확대하기 위한 활동을 한다는 일부 장애인 단체마저 '장애우'란 표현을 쓰고 있는데 정말 아이러니 합니다. 도대체 장애인을 비사회적, 비주체적 인간으로 표현하는, 그리고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 만드는 '장애우'란 단어를 단체명으로 사용하면서 어떻게 장애인의 인권과 복지를 확대할 것인지...정말 안타깝습니다.

이제는 장애인의 사회성, 주체성을 확대해가야 합니다.
이는 정치, 문화, 사회, 경제 등 모든 영역에서 진행되어야 하며, 동시에 사회적 관계, 집단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단어에서도 시작되어야 합니다.
지난 시절 '불구자'에서 '장애인'으로 바꾸어 나갔던 경험을 곱씹어 보아야 할 것입니다.
더이상 장애인을 비주체적이고 비사회적 인간으로 형상화하는 '장애우'란 표현을 쓰지 맙시다.

출처 : 장애인 실업자 종합 자원 센터 사무국장 '엄태근'님의 글

#####################
오랜만에 공감하는 글이라 퍼왔음!! 세상엔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나도 생각하는 사람이고 싶다.
반응형
[하루] 일상과 독백 2007. 10. 11. 18:15

임수정.. 터치 '아사쿠라 미나미'에 오버랩 되다.

반응형
행복 - 임수정
이 장면은 영화 "행복"에서 임수정과 황정민이 함께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 모습을 보면서 문득 떠오른 생각 하나..

아다치 미츠루의 "터치"에 나오는 미나미에 가장 어울리는 배우가 바로 이 임수정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문득 들어버렸다.

내 고등학교시절.. 손바닥만한 해적판 만화가 발매되기만을 기다리며 읽고 또읽었던 터치.. 그때 주인공은 한하늘, 한바다, 우시내라는 한글이름이었는데..

터치의 명장면이라면, 미나미의 눈물 한방울.. 그걸 보며 이보다 아름다운 눈물이 있을까하고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이런 아름다운 눈물을 흘리는 사람을 만나고 싶고, 또 동경했는데..

그때부터 아다치 미츠루의 만화라면 가리지 않고 봤던 걸로 기억된다.
H2, 러프, 미유키 등등...

터치와는 전혀 아무런 상관이 없는 이 영화한편의 스틸컷...
여기서 미나미의 눈물이 오버랩되는 것은 왜일까?
반응형

'[하루] 일상과 독백'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所有에 대한 慾望  (2) 2009.03.21
Beethoven Virus  (0) 2008.10.23
올블로그에 가입하다.  (0) 2007.10.11
TISTORY 백일장 사행시!!  (4) 2007.10.07
2007-04-22 플레이톡  (0) 2007.04.22
[하루] 일상과 독백 2007. 10. 11. 16:52

올블로그에 가입하다.

반응형
요즘 관심사는 바로 해피빈~~
이래저래 콩을 모아서 기부하는 기분이 제법 짭짤하다.. ㅋ
매일같이 잊지않고 로긴해서 콩을 모으고 기부하고...
그러다 올블로그에서 올블릿을 통한 기부도 가능하다는 걸 알게되었다.

뭐 얼마나 모이는가가 중요한게 아니라 다믄 콩하나 100원이라도 후원할 수 있다는게..
내주머니 털지 않고서도 늘 접속해 있는 컴퓨터와 인터넷에서 자그마한 노력이라도 더하고 싶은 마음 가득할 뿐이다.

매일같이 네이버 후원 프로젝트를 들락날락 거리는게 일과가 된 나의 아침..
http://project.happybean.naver.com/ProjectMain.nhn

아름다운 기부문화가 제대로 정착되길 기대하며..

우리 복지관 후원하기
http://happylog.naver.com/gaegeum.do
반응형

'[하루] 일상과 독백'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ethoven Virus  (0) 2008.10.23
임수정.. 터치 '아사쿠라 미나미'에 오버랩 되다.  (0) 2007.10.11
TISTORY 백일장 사행시!!  (4) 2007.10.07
2007-04-22 플레이톡  (0) 2007.04.22
2007-04-10 플레이톡  (0) 2007.04.11
[하루] 일상과 독백 2007. 10. 7. 00:22

TISTORY 백일장 사행시!!

반응형
: 티스토리... 블로그라면... 담을 수 있지 않을까?
: 스쳐간 시간.. 함께 나눈 우리들의 많은 이야기!
: 토요일 오후면 너와 함께한 커피향기까지 담아,
: 이 공간 속에 영원한 추억으로 남겨두고 싶어♡

생각보다 어렵네.. ^^;;
예쁜말로 만들어 넣고 싶었는데..
마지막 "리" 아무래도 힘들어.. ㅡ.ㅡ;;

====================================================
티스토리에서 백일장 이벤트를 하네요 ^-^
▶ 바로가기 : http://www.tistory.com/event/contest
반응형

'[하루] 일상과 독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수정.. 터치 '아사쿠라 미나미'에 오버랩 되다.  (0) 2007.10.11
올블로그에 가입하다.  (0) 2007.10.11
2007-04-22 플레이톡  (0) 2007.04.22
2007-04-10 플레이톡  (0) 2007.04.11
플톡 短想 - "사랑"  (0) 2007.04.09
[정보] IT정보&활용 2007. 9. 4. 10:09

부팅이 안되는 Windows XP 복구하기

반응형

컴퓨터 오류라는게 일단 부팅이 되기만 하면 여러 방식으로 복구 방법을 찾아보겠지만, 부팅 자체가 안된다면? 혹은 무한부팅이 반복된다면? 당황스럽기 그지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여러가지 복구방법이 있겠지만, 간단히 해볼 수 있는 방법 두가지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만일 이 방법으로도 안된다면, 전문가를 부르거나 XP를 새로 까는 수밖에 없지 않을까? ㅋ

첫째,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의 상당수는 ntdetect.com와 ntldr 파일이 손상된 경우입니다.

우선 XP 부팅 복구 CD가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해보면,
CD를 컴퓨터에 넣고 복구 콘솔모드로 부팅을 합니다.
이후 다음과 같은 명령을 입력합니다. (여기서는 CD 롬이 D:\라고 가정합니다.)

#########################################################################

C:\>WINDOWS>_ [ 이렇게 까만 화면에 커서가 깜빡이고 있을겁니다. ]

C:\>WINDOWS>cd ..¶ [ ¶는 Enter키를 나타냅니다. ]

C:\>attrib -r -s -h ntdetect.com ¶ [ ntdetect.com 파일의 속성 해제 ]

C:\>attrib -r -s -h ntldr ¶  [ ntldr 파일의 속성 해제 ]

C:\>del ntdetect.com ¶ [ ntdetect.com 파일 삭제 ]

C:\>del ntldr ¶ [ ntldr 파일 삭제 ]

C:\>copy D:\i386\ntdetect.com ¶ [ ntedtect.com 파일을 CD에서 HDD로 복사 ]

C:\>copy D:\i386\ntldr ¶ [ ntldr 파일을 CD에서 HDD로 복사 ]

C:\>exit ¶ [ 복구콘솔을 종료하고 시스템을 재시작 ]

#########################################################################

※ 참고 : 아래 단순한 명령어 하나로 무한재부팅 문제가 해결되기도 합니다.
C:\>map /arc ¶ [ CD-ROM의 장치명 확인 명령어 ]

#########################################################################

둘째, 단순한 ntldr 파일의 손상이 아니라 부트 섹터가 손상되었다면 아래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C:\>WINDOWS>cd .. ¶

C:\>fixboot ¶  [ 부트 섹터의 기록 명령어 ]

☆ 파티션에 새로운 부트섹터를 기록할지의 여부를 묻게 되면 Y를 입력하고 Enter 키!

C:\>fixmbr \device\harddisk0 [ 첫번째 하드디스크의 MBR 부트레코드의 복구 명령어 ]

※ 다양한 운영체제를 동시에 설치하셨거나, 다른 HDD의 파티션에 OS를 설치하신 경우에는 그 HDD의 파티션 정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파티션 정보는 "map /arc" 명령어를 이용하시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MBR을 생성할지의 여부를 확인합니다 Y를 입력하고 엔터 키!

C:\>exit ¶ [ 복구콘솔을 종료하고 시스템을 재시작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