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798건
- 2009.08.22 (아기들 재울 때 하는 말) '넨네'하자~~
- 2009.08.22 내일의 우리말 : 후제
- 2009.08.22 새를 훛다
- 2009.08.22 낫우다
- 2009.08.22 얄짤없다.
글
[정보] 잡동사니들
2009. 8. 22. 18:04
(아기들 재울 때 하는 말) '넨네'하자~~
반응형
경상도에서 아기들을 재울 때 흔히 하는 말이 바로 "넨네"이다.
포대기에 싸여 누워있는 아기를 보면서 토닥토닥 재우며 하는 말
"넨네"
난 이게 경상도 사투리인줄 알았다.
하지만 아무리 찾아도 사전에 나오지 않아 확인해보니
ねんね
일본어다. 그러게 사전에 없더라니..
쓸 때 쓰더라도 알고 쓰자.
포대기에 싸여 누워있는 아기를 보면서 토닥토닥 재우며 하는 말
"넨네"
난 이게 경상도 사투리인줄 알았다.
하지만 아무리 찾아도 사전에 나오지 않아 확인해보니
ねんね
일본어다. 그러게 사전에 없더라니..
쓸 때 쓰더라도 알고 쓰자.
반응형
'[정보] 잡동사니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망과 파프리카 (0) | 2009.10.06 |
---|---|
어떡하지? (0) | 2009.08.22 |
내일의 우리말 : 후제 (0) | 2009.08.22 |
새를 훛다 (0) | 2009.08.22 |
낫우다 (0) | 2009.08.2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정보] 잡동사니들
2009. 8. 22. 18:01
내일의 우리말 : 후제
반응형
날짜를 나타내는 우리말에 어제, 오늘, 모레는 다 있는데..
'내일(來日)'은 없다.
진짜? '계림유사(鷄林類事)'란 책에서 '내일'을 뜻하는 우리말을 '轄載(할제)'로 적어놓았다.
이에 대한 여러 음독 중 경상도 사투리인 '후제'가 '내일'의 우리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경상도에서 후제는 오늘이 아닌 다음의 다가올 어떤 날이라는 의미로 더 많이 쓰이고 있기는하다.
"후제 함 만나서 밥이나 묵자" (언제 한번 만나서 식사라도 합시다.)
"후제 함 찾아 뵐께예" (조만간 한번 찾아 뵙겠습니다.)
정리해보자면,
'그끄제-그제-어제-오늘-후제-모레-글피-그글피'
위와 같은 순서로 우리 선조들은 과거와 미래를 표현했다할 것이다.
출처 : 한글학회 부산지회장·여명중 교장/국제신문
'내일(來日)'은 없다.
진짜? '계림유사(鷄林類事)'란 책에서 '내일'을 뜻하는 우리말을 '轄載(할제)'로 적어놓았다.
이에 대한 여러 음독 중 경상도 사투리인 '후제'가 '내일'의 우리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경상도에서 후제는 오늘이 아닌 다음의 다가올 어떤 날이라는 의미로 더 많이 쓰이고 있기는하다.
"후제 함 만나서 밥이나 묵자" (언제 한번 만나서 식사라도 합시다.)
"후제 함 찾아 뵐께예" (조만간 한번 찾아 뵙겠습니다.)
정리해보자면,
'그끄제-그제-어제-오늘-후제-모레-글피-그글피'
위와 같은 순서로 우리 선조들은 과거와 미래를 표현했다할 것이다.
출처 : 한글학회 부산지회장·여명중 교장/국제신문
반응형
'[정보] 잡동사니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떡하지? (0) | 2009.08.22 |
---|---|
(아기들 재울 때 하는 말) '넨네'하자~~ (0) | 2009.08.22 |
새를 훛다 (0) | 2009.08.22 |
낫우다 (0) | 2009.08.22 |
얄짤없다. (0) | 2009.08.2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정보] 잡동사니들
2009. 8. 22. 17:58
새를 훛다
반응형
표준어에서는 '개를 쫓다', '새를 쫓다'와 같이 모두 '쫓다'를 쓰고 있다.
그러나 경상도에서는 '개'는 '쫓다'라고 하고, '새'는 '훛다(후+ㅊ다)'라고 한다.
길짐승은 쫓고, 날짐승은 훛아 낸다.
표현의 다양화는 우리말을 풍부하게 하고 아름답게 한다.
- 출처 : 한글학회 부산지회장 류영남
그러나 경상도에서는 '개'는 '쫓다'라고 하고, '새'는 '훛다(후+ㅊ다)'라고 한다.
길짐승은 쫓고, 날짐승은 훛아 낸다.
표현의 다양화는 우리말을 풍부하게 하고 아름답게 한다.
- 출처 : 한글학회 부산지회장 류영남
반응형
'[정보] 잡동사니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들 재울 때 하는 말) '넨네'하자~~ (0) | 2009.08.22 |
---|---|
내일의 우리말 : 후제 (0) | 2009.08.22 |
낫우다 (0) | 2009.08.22 |
얄짤없다. (0) | 2009.08.22 |
시크하다? 시니컬하다? (1) | 2009.08.01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정보] 잡동사니들
2009. 8. 22. 17:55
낫우다
반응형
흔히 '낫우다'는 '고치다'의 사투리로 생각한다.
하지만 경상도 말에서는 책상은 '고치다'라 하고, 병은 '낫우다'라 하여 구분한다.
곧 물건과 사람(동물)에 따라 구별하여 쓰고 있는 것이다.
'낫다'에 '우'를 넣어 타동사로 만들었으니 어법에도 적절하다.
사람의 병은 병은 고치는게 아니라 낫우는 것이다라는 생각!
살려써도 좋을 아름다운 사투리가 아닌가 한다.
- 참고 : 한글학회 부산지회장·여명중 교장
하지만 경상도 말에서는 책상은 '고치다'라 하고, 병은 '낫우다'라 하여 구분한다.
곧 물건과 사람(동물)에 따라 구별하여 쓰고 있는 것이다.
'낫다'에 '우'를 넣어 타동사로 만들었으니 어법에도 적절하다.
사람의 병은 병은 고치는게 아니라 낫우는 것이다라는 생각!
살려써도 좋을 아름다운 사투리가 아닌가 한다.
- 참고 : 한글학회 부산지회장·여명중 교장
반응형
'[정보] 잡동사니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의 우리말 : 후제 (0) | 2009.08.22 |
---|---|
새를 훛다 (0) | 2009.08.22 |
얄짤없다. (0) | 2009.08.22 |
시크하다? 시니컬하다? (1) | 2009.08.01 |
TV도 없는데 '수신료'를 내고 있지 않나요? (0) | 2009.01.03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정보] 잡동사니들
2009. 8. 22. 17:52
얄짤없다.
반응형
얄짤없다 → 일절없다.
사전상에서 얄짤없다란 표현은 없다.
정확한 어원을 찾기는 힘들겠지만,
일절(一切)없다라는 표현을 조금 작게 표현하면서 얄짤없다로 변형된 것이 아닌가 한다.
사전상에서 얄짤없다란 표현은 없다.
정확한 어원을 찾기는 힘들겠지만,
일절(一切)없다라는 표현을 조금 작게 표현하면서 얄짤없다로 변형된 것이 아닌가 한다.
반응형
'[정보] 잡동사니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를 훛다 (0) | 2009.08.22 |
---|---|
낫우다 (0) | 2009.08.22 |
시크하다? 시니컬하다? (1) | 2009.08.01 |
TV도 없는데 '수신료'를 내고 있지 않나요? (0) | 2009.01.03 |
[운전습관] 주행시 기어를 중립에 놓기보다,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세요. (0) | 2008.05.10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