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사회복지란 .... 사회복지의 주체와 객체

반응형

우선 우리가 하나의 개념을 정의하는 기본 요소에 대해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

국어사전을 살펴보면 정의란 어떤 개념의 내용이나 용어의 뜻을 다른 것과 구별할 수 있도록 명확히 한정하는 일, 또는 그 개념이나 뜻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즉 사회복지를 정의내리려면 사회복지가 다른 것과 구별할 수 있도록 명확히 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찾는 일이 우선이다. 또한 그러한 구분을 하기 위해서는 광의보다 협의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하다. 미리 언급하지만 여기서 사회복지란 협의의 사회복지, 즉 사회복지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여기서는 사회복지의 정의를 주체와 객체(대상), 내용, 목적(방향성)이라는 세가지를 중심으로 정의해보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의 주체는 사회복지사다. 사회복지사가 아닌 사람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사회복지가 아니란 말인가? 당연히 아니다.[각주:1] 우리는 사회복지사가 아닌 사람들이 행하는 활동들을 자원봉사, 자선사업 등이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사회복지사란 사회복지전문가를 말하며,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와 책임이 있는 사람이란 뜻이다.

우리는 여기서 다시한번 전문성과 의무와 책임이라는 개념으로 확장해 볼 필요가 있다.
전문성, 전문가, 전문직 등을 이야기할 때 반드시 언급되는 요건들이 바로 지식, 기술, 가치, 조직이라는 네가지 개념이다.[각주:2] 그것들이 명확히 전문가로서 타인들과 구분될 수 있을 때 우리는 그 사람을 한명의 전문 사회복지사라고 얘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우리가 고민해야할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을 가지고 전문가라고 우기고 있지 않은가에 대한 자기반성이며 성찰인 것이다.
우리가 대학을 통해 배우는 것들은 결코 적은 분량의 지식이 아니다. 클라이언트를 만나고 관계를 맺고, 사정하고, 평가하는 지식과 기술은 결코 낮은 수준의 것이 아니며,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쉬 잘못을 저지를 수 있기에 아무나 해서는 안되는 일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 즉 자원봉사자나 실습생들과 같은 이들이 수행하는 모습을 보고 잘된 점과 잘못된 점을 그들이 수긍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에서 올바르게 슈퍼비전할 수 있어야 진정한 사회복지 전문가라고 얘기할 수 있다.

또하나 의무와 책임이 주는 무게는 무겁다. 아직까지 사회복지사의 선한 의지(Good Will)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며, 법적 제도적 장치가 미비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사회복지 해보니 그거 별거 없네라는 이야기를 들을 때나, 몇년동안 봉사활동 해보니 내가 준전문가라는 자원봉사자의 얘기를 들을 때면, 독려차원에서 웃고는 있지만 씁쓸한 양가감정을 느끼곤 한다.[각주:3] 이러한 이야기들은 사회복지사에게 주어지는 책임을 간과했기에 나오는 발언들이다. 이럴 때면 되묻고 싶다. 당신은 어떤 각오로 그 일을 하고 있냐고.
비록 아무리 선의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한다하더라도 그것이 양날의 검이 되어 사회복지사를 찌르는 경우, 그 책임은 고스란히 본인의 몫이다. 일례로 전혀 잘못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사이기 때문에, 멱살을 잡히고, 맞고, 협박을 당하고, 돈을 물어야만 하는 사례를 보기도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사회복지사업이 생계인 만큼 그 책임도 무겁다. 포기해야할 것도 많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필요하다고 믿기에 해내는 수많은 일들에 대해서는 언급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이러한 전문성 그리고 책임과 의무가 존재하는 한 사회복지의 주체는 사회복지사이다.

둘째, 사회복지의 객체는 클라이언트다. 난 클라이언트를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어려운 문제로 도움을 요청하는 이들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사회복지에서 클라이언트라하면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 혹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여기서 우리는 문제의 범주를 명확히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사람은 누구나 문제를 갖고 있다. 하지만 그 문제는 대부분 스스로의 힘으로 극복할 수 있는 문제들이다. 이런 문제는 사회복지의 문제가 될 수 없다.
따라서 문제는 지금 현재 자기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이어야만 한다는 하나의 속성을 갖는다.
한편 그것이 영원히 해결불가능하다면 그것 또한 대상이 될 수 없다. 사회복지가 만능은 아니라는 뜻이다. 사회복지사의 개입을 통해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만이 대상이 될 수 있다.[각주:4]

또한 사람에 초점을 두었을 때 그 사람이 갖는 속성을 또하나의 특성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문제가 위에서 언급한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모든 이들이 대상이 될 수는 없다는 뜻이다. 영어사전을 살펴보면, Client ① (변호사 등의) 의뢰인 ② (상인의) 고객, 단골 ③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사의 도움을 받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한가지 개념을 추론할 수 있다. 바로 대상자의 자발성이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서 그 해결을 의뢰한 사람만이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가만히 집에 앉아서 모든 걸 해주기만을 바라는 사람은 절대로 클라이언트가 될 수 없다.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원칙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과도 같은 맥락이다.

이러한 두가지 관점에서 난 클라이언트를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어려운 문제로 도움을 요청하는 이들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상에서 사회복지의 주체와 객체를 통한 기본 개념을 정리할 수 있다.
사회복지란 쉽게 말해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는 일인데, 그 어려운 사람이 클라이언트, 그리고 그걸 도와주는 사람이 바로 사회복지사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 남은 것은 "어떻게"이다.

To be Continued...

  1. 물론 여기서 자원봉사 또는 자선사업 등이 갖는 역할과 중요성을 부정하거나 폄하하고자함은 아니다. 하지만 명확한 것은 자원봉사자 후원자 등은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또하나의 대상이라는 사실이다. 사회복지의 대상은 아니지만 사회복지사의 대상이 되는 이들을 주체로 볼 수는 없지 않은가? 사회복지사는 중개자(broker)로서 그들이 갖는 인적, 물적, 환경적 자원을 도움이 필요한 클라이언트에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에 따르는 의무와 책임을 진다. 이어지는 내용을 계속 따라가보자. 또한 사회복지조직을 제외한 시민단체와 같은 민간조직의 사회복지영역으로의 확장에 따르는 개념의 문제 또한 다음 기회에 생각을 정리하고자 한다. [본문으로]
  2. ① 비전문가라면 알기 힘든 지식 ② 비전문가라면 쉽게 따라할 수 없는 기술 ③ 고유의 바람직한 가치와 올바름에 대한 윤리를 갖추고 있을 것 ④ 마지막으로 동일한 지식, 기술, 가치를 공유하고 있는 조직이 존재할 것 [본문으로]
  3. 이러한 이야기들은 주로 우리가 제공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중 의식주에 관련되어 있는 1차적 서비스와 정서적 서비스와 관련하여 자원봉사를 하는 분들에게서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사회복지가 어디 그것들 뿐이던가? 하물며 그런 일일지라도 관공서, 유관기관과의 관계속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것들은 전문가로서의 신뢰가 밑바탕되지 않으면 시도조차 못하는 일도 많다는 사실을 잊지마라. [본문으로]
  4. 덧붙여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이유가 경제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오늘날의 사회복지는 너무 광범위한 문제를 건드리고 있다. 그러다보니 범위가 너무 넓어져서 오히려 그 정체성에 혼돈을 겪고는 한다. 이런 부분은 그 범위를 축소했을 때 오히려 명확해질 수 있다. 사회복지는 역사적으로 살펴보아도 빈곤에 대한 대응에 그 뿌리를 두고 있지 않은가? 하지만 이는 논란의 여지가 많기 때문에 본문에서는 빼도록 한다. [본문으로]
반응형
[정보] IT정보&활용 2009. 5. 9. 19:58

[펌] 고화질 유튜브 (YouTube)

반응형
유튜브에는 일반적으로 공개되지 않은 고화질의 영상이 존재한다.
그것을 간단한 코드를 덧붙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유튜브 주소 뒤에 &fmt=18 또는 &fmt=22 를 뒤에 추가하면 된다.
그러면 H.264 버전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 화질의 등급
   &fmt=22 → HD급 고화질
   &fmt=18 → SD급 화질    
   아무것도 없으면 일반화질


[참고] http://blog.dreamwiz.com/sscslee/9049663
반응형

마우스로 잡는 SPSS

반응형

SPSS 14.0
카테고리 컴퓨터/IT
지은이 우수명 (인간과복지, 2007년)
상세보기

현재 발간된 것은 SPSS 14.0 for Windows에 대한 책까지 나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현재 SPSS는 v17.0까지 확인하였다.
너무 빨리 버전업이 되는 듯한데, 별반 구성의 차이는 없어보인다.

SPSS를 활용한 자료분석은 이 책이 제일 쉽게 잘 되어 있는 듯..
반응형

[자료분석론] 다중응답의 분석 : SPSS

반응형

SPSS를 활용한 사회복지조사분석을 실시하면서 늘 문제가 되거나 가장 많은 질문을 받게 되는 항목들이 아래의 세가지이다.
입력오류를 찾는법과 그로 인한 결측값의 처리문제, 마지막으로 가장 관심도가 높은 다중응답에 대한 처리와 분석이다.

첨부된 한글 파일은 아래 내용을 그대로 정리한 것이다.



1. 입력오류
코딩(변수정의, 입력)이 모두 끝났다면, 이제 입력의 오류를 찾아야 한다. 잘못된 입력 데이터는 통계의 정확도를 떨어뜨리게 되는데, 수백개나 되는 입력값들을 하나하나 설문지와 대조해 볼 수는 없다.

▶ 입력오류 찾아 고치기 : 모든 항목에 대한 빈도분석 실시
→ 빈도분석의 결과에서 정의하지 않은 변수에 대한 입력값이 있다면 그것은 코딩이 잘못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코딩이 끝나고나면 모든 항목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코딩에러를 찾아고치도록 한다.

2. 결측값 (무응답, Missing)
통계에서는 경우에 따라 무응답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결측값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면 변수를 정의해 두는 것이 더욱 좋다.

1) 단순한 무응답의 경우 : 입력값을 부여하지 않는다.
2) 의미있는 무응답의 경우 : 0 또는 999를 입력
3) 결측값의 처리 : 기본값은 No Missing Values로 되어 있다.
→ Discrete Missing Values(이산형 결측값)을 체크하고 0을 입력해 준다.

3. 다중응답의 분석
다중응답에 대해서는 변수를 어떻게 정의내렸느냐에 따라 분석방법이 달라진다. 범주형과 이산형이 있다. 또한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경우에도 달라지며 이때는 별도의 가중치를 부여토록 한다.

예) Q5. 귀하가 좋아하는 찌개는 무엇입니까? 두가지만 선택해주세요.
       ① 김치찌개 ② 된장찌개 ③ 순두부찌개 ④ 기타
        → 위 설문에 응답자가 ①과 ③을 응답한 경우

 [코딩방법 1 범주형]
  Q5-1 귀하가 좋아하는 ~~) ① 김치찌개
  Q5-2 귀하가 좋아하는 ~~) ③ 순두부찌개

[코딩방법 2 이분형 : Yes/No]
  Q5-1 김치찌개)    ① YES   
  Q5-2 된장찌개)    ② NO
  Q5-3 순두부찌개) ① YES    
  Q5-4 기타)          ② NO


1) 범주형 자료의 분석
범주형의 경우 우선 변수군을 정의(Val_1-1, Val_1-2, …)하여 새로운 변수를 생성(Val_All)한 다음 분석한다.

가. 변수군 정의
Analyze(분석) > Multiple Response(다중응답) > Define Sets(변수군 정의)
다중응답으로 처리할 변수를 선택한 후, Categories(범주형)에서 변수의 범위(Range)를 정하고, 새변수의 이름과 설명을 입력/추가(Add)합니다.

나. 다중응답 빈도분석의 실행
Analyze(분석) > Multiple Response(다중응답) > Frequencies(빈도분석)
앞서 새롭게 정의한 변수를 선택하고 분석을 실행합니다.

2) 이분형 자료의 분석
이분형의 경우는 하나의 분항을 각각의 변수값(Values)에 대응하는 Yes/No의 모든 설문지를 생성하고 그 내용에 대해 분석을 실시한다.
여기서는 Yes는 1, No는 2라고 정의하였다고 보고 설명합니다.

가. 변수군 정의
Analyze(분석) > Multiple Response(다중응답) > Define Sets(변수군 정의)
다중응답으로 처리할 변수들을 선택한 후, Dichotomies Counted value에서 Yes라고 정의한 변수값, 즉 1을 적어줍니다. 이후 새변수의 이름과 설명을 입력/추가(Add)합니다.

나. 다중응답 빈도분석의 실행
Analyze(분석) > Multiple Response(다중응답) > Frequencies(빈도분석)
앞서 새롭게 정의한 변수를 선택하고 분석을 실행합니다.

※ 개인적으로 판단컨데, “두개만 선택하시오”의 경우에는 범주형이, “모두 선택하시오”라고 질문한 경우 이분형이 코딩과 분석에 용이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 우선순위가 있는 경우
우선 순위가 부여된 경우에는 그 순위에 따라 별도의 가중치를 부여해야합니다. 이 가중치는 조사자의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가중치 부여를 한 후 범주형 또는 이산형으로 분석을 다시 실시토록 합니다.


[참고자료] 마우스로 잡는 SPSS for Windows v10.0, 우수명, 인간과 복지, 2003
반응형
[정보] IT정보&활용 2009. 5. 5. 13:20

인터넷전화(070)로 팩스 보내기 : Zoiper

반응형

Software VoIP 중에서 팩스 송수신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Zoiper v2.20이 바로 그것이다.

http://www.zoiper.com/


앞서 잠깐 언급했던 X-lite는 전화기능만 지원했었다.
http://jshever.tistory.com/184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팩스 송/수신도 지원한다.
물론 음성통화는 당연히 지원한다. (X-lite는 버릴까? 음...ㅡ.-)

설정방법은 X-lite와 별반 차이는 없다. 인터넷 전화기.. 참 못하는게 없는 것 같다.
게다가 무료이며 리눅스까지 지원하니 금상첨화!!
단, 한글은 지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워터마크랑 [ This FAX was transmitted by Zoiper ]라는 메시지가 하단에 나타난다.

(그런데.. 이메일이 발달된 요즘 굳이 인터넷으로 팩스를 보낼 필요가 있을까? 수신은 글쎄..)

하지만 설장방법이 어렵지 않으니 쉽게 활용은 가능하다.



아래는 Options(Alt+O)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며 그림처럼 설정만 하면된다.
난 mylg070을 사용하므로 도메인을 lgdacom.net으로 했지만, 삼성 등 다른 070 전화기를 사용하시는 분은 해당사항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

mylg070 에서는 프록시 서버를 설정해야 하므로 [옵션] 왼쪽 하단에 있는
□ Show advanced options를 활성화 해 주면 메뉴가 늘어난다.


※ 전화, 팩스 송신까지는 테스트 완료하였으나 팩스 수신은 안되던데..
팩스 수신은 테스트를 더 해봐야 겠다.
기능 설명에서도 팩스 기능은 베타(Beta)버전이라고 한다. 업그레이드를 기대하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