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는 전문직인가?

반응형

흔히들 전문가의 요건으로 지식, 기술, 가치, 조직 등을 언급하고 있다.
관련하여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실천론, 이경남 외, 학지사, p.59)에서는 20세기 초반 사회복지가 확대발전하는 과정에서 일었던 전문직 논란에 대해 가볍게 언급하고 지나가고 있다.
이에 추가 정보를 검색해 보았다.

왜 그 당시 사회복지사는 전문직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었으며, 그에 대한 관련 근거는 무엇이었을까?

그에 대해 간단히 검색한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플렉스너는 하나의 전문직으로서의 기준을 절대적인 접근법에 의거하여 아래 여섯가지로 제시한 후 그 기준에 따라 사회복지는 전문직으로 보기 어렵다고 하였다.

1. 개인적인 책임이 수반
2. 과학과 학습
3. 실천적이며 분명한 목적으로 발전
4. 교육적으로 의사소통 가능
5. 자기를 조직하는 경향
6. 동기가 점차 이타적이 되어간다.


어떠한가? 지금의 사회복지사에게도 이것을 근거로 전문직이 아니라고 얘기할 수 있는가?
스스로 확언할 수 있는지 되질문해 보아야 할 것이다.

- update 2011. 09. 26 ----------------------------------------------------------------
검색을 통해 추가정보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원문도 구했습니다. 아래는 그 내용을 약간 다듬기만 했습니다.
[출처] http://blog.daum.net/jwoasis/522
------------------------------------------------------------------------------------

1915년 플렉스너(A. Flexner)는 Is Social Work a Profession,I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Conference of Charities and Correction: at the 42th Annual Session, 1915, pp.576-590. 전미 자선과 교정회의(National Conference of Charities and Corrections)에서 한 연설을 통해 사회복지는 전문직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다음 여섯가지 항목을 제시하였다.
 
1. 광범위한 개인의 책임성을 기초로 한 지적인 활동일 것
2. 과학과 학습을 통해서 그들의 기초자료를 이끌어 낼 것
3. 이러한 자료는 실질적이고 명확한 결론을 만들어 낼 것
4. 고도의 전문화된 교육훈련을 통해서 구사하고, 전수할 수 있어야 할 것
5. 직능집단을 결성할 수 있어야 하며, 집단의식을 가지고 활동이나 의무책임을 유지하면서 전문가 조직을 구성할 것
6. 점차 이타성이 증가될 것, 그리고 사회적 목적달성을 위해 노력할 것

그리고 이러한 기준에 비추어보아 아직 독자의 기술, 전문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전문직과 관련된 문헌, 실천기술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직이라 결론내리기 어렵다고 하였다.

Is_Socialwork_a_Profession(Flexner).pdf


------------------------------------------------------------------------------------

update 2012. 07. 23

전문직 이론에 관한 일 고찰 - 사회사업을 중심으로, 박종우, 1997
위 논문도 참고하면 좋을 듯..

 

 

반응형
[정보] IT정보&활용 2011. 9. 14. 16:37

USB 안전제거가 안될 때

반응형
USB 오류를 막기 위해 안전제거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끔 USB가 사용중일 경우에는 안전제거가 안됩니다.

 


주로 복사/이동과 같은 USB 쓰기 작업이 있을 때, USB에 저장된 문서를 열어놓은 경우(예, 한글, 엑셀, 파워포인트 등)에 이런 메시지를 만나게 됩니다.

그런데, 가끔은 분명 눈에 보이는 이런 작업이 없음에도 이런 메시지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제 경우에는 백신 프로그램이 검사중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때는 충분히 기다려주는 것이 좋겠지요. 분명 뭔가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일테니까요.
어쨌든 주 원인은 explorer.exe 인듯합니다.

여유가 되시면 기다리시면 좋겠지만, 분명히 작업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메시지를 만나게 되신다면, explorer.exe를 강제 종료시켜주시면 해결이 될 것입니다.



강제종료는 위 그림과 같이 작업관리자를 실행(Ctrl+Alt+Del 키)시켜서 프로세스를 끝내주시면 됩니다.
위 그림과 같이 explorer.exe 선택하시고 [프로세스 끝내기(E)] 클릭!!

그러고 나면 시작표시줄 단추나 바탕화면이 보이지 않게 변해 버리게 됩니다.
이때 explorer.exe를 다시 실행시켜주시면 원래대로 돌아갑니다.


[응용 프로그램] 탭에서 [새 작업(N)] 버튼을 클릭하시면 위 그림처럼 창이 하나 뜹니다.
이때 [열기(O)]란에 C:\WINDOWS\explorer.exe 를 입력하시고, [확인]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원래대로 복구됩니다.

쉽게는 unlocker라는 프로그램을 구해서 잠금을 해제하신 후에 제거하셔도 되는데, 해보니까 unlocker도 못찾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아무래도 강제 종료는 USB에 무리를 줄 수밖에 없을 듯합니다.
되도록 기다려보시고 정 급하시면 해보세요.
전 실행중인 탐색기만 종료해도 이 문제들이 해결되기도 하더라구요.



2011/05/02 - [[정보] IT정보&활용] - USB 쓰기금지(Write-Protect) 복구방법

반응형

연으로~

반응형





사모할
꽃  
연   
그러할





54

이되고 다시 으로 하니 이어라.
반응형

'[글귀] 마음을 담다 > 나누고 싶은 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움  (0) 2011.12.12
그리움  (0) 2011.12.11
SNS를 통한 소통의 미래  (0) 2011.09.05
毋自欺(무자기)  (0) 2011.08.09
껌 파는 할머니  (0) 2011.02.20

SNS를 통한 소통의 미래

반응형

Communication이라는 것을 보완하는 수단으로서 SNS는 참 뛰어난 강점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SNS만으로 소통하려 해서는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SNS는 우리가 Communication하기 위한 일종의 수단이긴 하지만, 그 자체로 목적이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것이 말과 글 그 자체가 목적이 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그 안에는 반드시 어떤 의미의 전달이라는 목적이 있습니다.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를 통해 당신이 나누려고 하는 진정한 의미는 무엇입니까?
즉, 우리가 Communication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먼저 충분히 생각해야합니다.
어떤 목적이 먼저 있고, 그 수단으로 우리는 대화, 전화, 편지 등 다양한 Communication 수단을 이용합니다.

SNS에서 mention이 적다고 한다면?
그 이유는 당연히 Communication할 목적 즉 필요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 굳이 SNS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더 빠르고 쉽고 좋은 방법들이 많이 있는데, 굳이 채 500자도 안되는 글자수의 제한 속에 가둘 필요가 뭐가 있을까요?

익히 알고 있듯이 SNS는 가볍게 신변잡기를 나누는 공간으로 시작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과거 홈페이지 등이 너무 무겁고 때문에 정보의 전달은 가능하지만, 그때문에 소통하기가 부담스러웠기 때문입니다.
이렇게해서 등장한 미니홈피 > 블로그 > 마이크로 블로그 > SNS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SNS가 다시 복잡해 지고 있습니다.
물론 온라인은 그 특성상  접근성과 확장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가 가능하며 또한 실제로 그렇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뭐라해도 SNS는 Communication의 한가지 수단에 불과하다는 본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소통이 목적인가요? 소통 또한 수단입니다.
무엇을 소통할까요? 바로 이 무엇이 목적입니다.
그 목적을 명확히 하세요.
그러면 SNS를 비롯한 각종 온라인 Community 등이 나아가야할 방향성도 보이게 될 것입니다.

SNS, 지금 반성하고 자신의 정체가 목적이 아닌 수단임을 인정하는게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는다면, 목적이 빈약함으로 인해 소통의 부재로 이어지는 텅빈 폐가와 같은 모습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 감히 예언해 봅니다.

SNS가 소통의 부재로 허무를 맛보지 않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글귀] 마음을 담다 > 나누고 싶은 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움  (0) 2011.12.11
연으로~  (1) 2011.09.08
毋自欺(무자기)  (0) 2011.08.09
껌 파는 할머니  (0) 2011.02.20
期待  (0) 2011.01.17

동화사 통일약사대불

반응형


대구 동화사에 다녀왔다.
그곳에서 만난 통일약사대불.. 그 어마어마한 규모에 벌린 입을 다물 수 없었다.
왼쪽 아래 찍힌 사람과 비교하면 30m에 달한다는 실제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