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정보] 복지 이야기/[法] 복지관련 법령에 해당되는 글 128건
- 2023.05.15 종사자 연가 사용 촉진
- 2023.03.24 사회복지시설 노무 제공자 범죄 경력조회
- 2023.02.10 지방보조금과 민간위탁금
- 2022.12.21 영구임대아파트 내 사회복지관 설치 근거 #2
- 2022.12.01 장기요양기관 잉여금의 법인 회계로의 전출
글
종사자 연가 사용 촉진
2021.04.07 - [[정보] 복지 이야기/[法] 복지관련 법령] - 「근로기준법」 제61조(연차 유급휴가의 사용 촉진)
근로기준법 제61조는 종사자의 연가 사용 촉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를 엑셀로 만들어서 그 구체적인 날짜와 기간을 만들어 보았다.
법령의 세부내용은 위 이전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보] 복지 이야기 > [法] 복지관련 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의계약 방법(일반적) (0) | 2023.06.01 |
---|---|
사회복지시설의 공개채용(공고기간) (0) | 2023.05.24 |
사회복지시설 노무 제공자 범죄 경력조회 (0) | 2023.03.24 |
지방보조금과 민간위탁금 (0) | 2023.02.10 |
영구임대아파트 내 사회복지관 설치 근거 #2 (0) | 2022.12.21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사회복지시설 노무 제공자 범죄 경력조회
사회복지시설에서 취업 또는 노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입사 전 위와 같은 범죄경력조회를 해야만 한다.
물론 해당 조회의 주체가 누구인가(지자체장, 시설장), 얼마나 자주해야하는가(입사 전 1회, 연 1회)에 대해서는 다소 불분명한 것들도 있다.
또한 조회 대상의 범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과도한 조회가 야기하는 행정력낭비와 개인정보를 침해할 가능성들도 우려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에서는 노무를 제공하려는 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당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강사들도 조회범주에 포함된다고 보는 것이 옳다고 여겨진다.
'[정보] 복지 이야기 > [法] 복지관련 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시설의 공개채용(공고기간) (0) | 2023.05.24 |
---|---|
종사자 연가 사용 촉진 (0) | 2023.05.15 |
지방보조금과 민간위탁금 (0) | 2023.02.10 |
영구임대아파트 내 사회복지관 설치 근거 #2 (0) | 2022.12.21 |
장기요양기관 잉여금의 법인 회계로의 전출 (0) | 2022.12.01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지방보조금과 민간위탁금
2021.12.31 - [[정보] 복지 이야기/[法] 복지관련 법령] - 지방보조사업 실적보고서(검증보고서), 감사보고서 제출 의무
지방보조사업 실적보고서(검증보고서), 감사보고서 제출 의무
update 2021. 1. 6. ------------------------------- 「지방자치단체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이 2021년 제정·시행됨에 따라 보조금을 받는 사회복지시설에서 해야할 일들이 하나 더 늘어났다. 바로 지방보
welfareact.net
2022.02.24 - [[정보] 복지 이야기/[法] 복지관련 법령] - 지방보조사업 실적보고서(검증보고서), 회계감사보고서 제출의무(추가 검토)
지방보조사업 실적보고서(검증보고서), 회계감사보고서 제출의무(추가 검토)
지방보조사업 실적보고서(검증보고서) 그리고 감사보고서 제출 의무에 대해 아래와 같이 포스팅한 바 있다. https://welfareact.net/767 이와 관련해 몇 가지 사실을 추가로 점검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welfareact.net
관련해서 "사회복지시설 운영비 보조금"을 "민간위탁금"으로 바꾸면 되지 않는가라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정산보고, 검증보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인데요.
이와 관련하여 "지방보조금"과 "민간위탁금"의 차이에 대해 잘 정리하신 글이 있어 공유합니다.
지방보조금과 민간위탁금의 차이
지자체의 보조금 지원이 '민간위탁금' 예산항목일 경우에는 지방보조금법상 감사보고서 제출의무가 없다는 의견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보조금 교부하는 수행기관이 민간위탁 대상이고, 보조
bokjiallim.tistory.com
꼼꼼히 법령들과 지침을 추적·검토해주셨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정보] 복지 이야기 > [法] 복지관련 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사자 연가 사용 촉진 (0) | 2023.05.15 |
---|---|
사회복지시설 노무 제공자 범죄 경력조회 (0) | 2023.03.24 |
영구임대아파트 내 사회복지관 설치 근거 #2 (0) | 2022.12.21 |
장기요양기관 잉여금의 법인 회계로의 전출 (0) | 2022.12.01 |
직인 날인 방법 (5) | 2022.11.28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영구임대아파트 내 사회복지관 설치 근거 #2
2013.04.24 - [[정보] 복지 이야기/[法] 복지관련 법령] -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내의 사회복지관 설치 근거
구분 | 개정 전 | 개정 후 |
설치의무 |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조 | 전부 개정, 2013. 7. 15. 해당 조항 삭제 |
무상사용 |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제31조 | 전부 개정, 2015. 12. 29. 해당 조항 삭제 |
과거 「주택법」에 근거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내 사회복지관 설치의무를 명시한 바 있고,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서는 한국주택공사(LH)가 지방자치단체에 이를 무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었다.
하지만 각각 2013년과 2015년에 해당 규칙의 전면개정을 통해 해당 조항들을 삭제하였다.
이것이 어떤 의미인지 사회복지관은 바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정보] 복지 이야기 > [法] 복지관련 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시설 노무 제공자 범죄 경력조회 (0) | 2023.03.24 |
---|---|
지방보조금과 민간위탁금 (0) | 2023.02.10 |
장기요양기관 잉여금의 법인 회계로의 전출 (0) | 2022.12.01 |
직인 날인 방법 (5) | 2022.11.28 |
공사시 분리발주 해야하는 경우 (0) | 2022.11.2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장기요양기관 잉여금의 법인 회계로의 전출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 재무·회계 규칙」에 보면 “법인회계전출금”이라는 목이 있다.
[별표 4] 시설회계 세출예산과목구분의 411목과 [별표 10]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세출예산과목 구분의 411목이 그것이다.
과목 내역 혹은 명세에 보면, 그 설명은 “법인 회계로의 전출금(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경우에만 해당함)”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렇다면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경우란 어떤 것일까?
보건복지부 또는 부산시 사회복지법인·시설 업무가이드에 보면 다음과 같은 표현이 있다.
그러다보니 장기요양의 잉여금도 자연재해로 인한 개보수가 아니면 전출할 수 없는 것이 아니냐는 혼란이 있는 듯하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오해이다. 위에서 보듯이 [별표4]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장기요양기관이 적용을 받는 것은 [별표10]이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는 『2022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Ⅰ)』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술하고 있다.
자,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잉여금은 노인복지사업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까지는 확인하였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보자.
“노인복지사업”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노인복지사업비로만 쓰라는 말일까? 아니면 노인복지시설의 운영비로도 사용할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는 다들 운영비·사업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이에 대해서 관례를 넘어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사업”이 무엇인지 정의내리는 것에서 출발해야한다. 하지만 불행히도 노인복지사업이 무엇인지 명확히 하고 있는 문서는 찾기 어렵다. 이 경우 상식선에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모법인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제1호는 “사회복지사업”에 대해 “~ 법률에 따른 ~ 복지에 관한 사업과 ~ 각종 복지사업과 이와 관련된 자원봉사활동 및 복지시설의 운영 또는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라고 정의한다. 연장선에서 노인복지사업을 정의하자면 ‘노인복지법에 따른 노인복지 관련 사업과 이와 관련된 자원봉사활동 및 시설운영 또는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라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덧붙여 노인복지관을 예로 살펴보면,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에서 세부사업명으로 “4-4. 노인복지관 설치·운영”이라고 밝히고 있다.
즉 노인복지시설의 운영 또한 노인복지사업 범주 안에 들어간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정보] 복지 이야기 > [法] 복지관련 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보조금과 민간위탁금 (0) | 2023.02.10 |
---|---|
영구임대아파트 내 사회복지관 설치 근거 #2 (0) | 2022.12.21 |
직인 날인 방법 (5) | 2022.11.28 |
공사시 분리발주 해야하는 경우 (0) | 2022.11.22 |
사회복지시설은 출입구를 자동문으로 하여야 하는가? (0) | 2022.10.25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