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2021/03/15에 해당되는 글 2건
- 2021.03.15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시 간과하기 쉬운 점
- 2021.03.15 신입직원 교육 커리큘럼
글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시 간과하기 쉬운 점
이제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이 의무교육으로 매년 실시해야한다는 사실은 모두가 잘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교육을 잘 진행하는 반면, 교육 내용을 게시해야한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은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3조에 따른다.
이 법 제13조 제3항에 보면,
법 제13조
③ 사업주는 성희롱 예방 교육의 내용을 근로자가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는 장소에 항상 게시하거나 갖추어 두어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신설 2017. 11. 28.>
즉 교육을 실시하고 해당 내용을 언제든 열람할 수 있도록 비치하여 상시 게시하여야 한다.
법 제39조(과태료)
②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개정 2012. 2. 1., 2017. 11. 28., 2019. 8. 27., 2020. 5. 26., 2020. 9. 8.>
1의2. 제13조제1항을 위반하여 성희롱 예방 교육을 하지 아니한 경우
1의3. 제13조제3항을 위반하여 성희롱 예방 교육의 내용을 근로자가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는 장소에 항상 게시하거나 갖추어 두지 아니한 경우
심지어 이행하지 않으면 법 제39조에 따른 과태료도 있다.
교육 미실시와 더불어 게시하지 않은 경우도 500만원의 과태료 대상이 되니, 교육을 잘 실시하였다면 해당 내용도 놓치지 말자!
'[정보] 복지 이야기 > [敎] 법정의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0) | 2021.06.22 |
---|---|
개인정보 보호 교육 (0) | 2021.06.22 |
2021년 사회복지시설 의무교육 (6) | 2021.04.23 |
사회복지관 등 종사자의 어린이 안전교육 의무화 (0) | 2021.03.26 |
사회복지시설의 의무교육 (4) | 2019.05.1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신입직원 교육 커리큘럼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를 보면 신입직원 교육에 대한 부분이 명시되어 있다.
2021년 사회복지관 평가지표에 따르면, B10 영역에서 1인당 24시간의 신입직원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육내용으로는 직무관련 교육이어야 하며, 의무교육 중 개인정보, 인권, 성희롱, 소방안전은 제외된다.
그렇다면, 해당 신입직원 교육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1. 공통 규정교육(6시간 / 각 1시간)
- 사회복지사업법 및 관계 법령
- 법인에 대한 이해
- 복지관 운영규정 및 취업규칙
- 재무회계규칙 및 관련업무
- 노사협의회
- 상조회 운영
2. 행정업무 관련 교육(8시간 / 각 1시간)
- 문서관리 / 기록관리
- 교육훈련 / 인적자원관리
- 기반구조 / 업무환경개선
- 서비스/프로그램 기획
- 홍보
- 이용자 불만 처리
- 물품구매(계약), 공급자 관리
- 후원, 자원봉사자 관리
3. 담당사업에 대한 직무교육(8시간)
- 인수인계시 진행되는 담당 사업에 대한 이해 관련 전달 교육
4. 기타 법정 의무교육
- 직장내 괴롭힘
- 퇴직연금교육
- 산업안전․보건교육
- 위생교육
-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 노인학대 신고의무자 교육
-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교육
- 긴급복지지원 신고의무자 교육
사회복지시설의 의무교육
2015. 4. 2. ------------------------------ 사회복지시설에서 직원을 대상으로 해야하는 의무교육들이 있다. 많이 들어보았을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소방교육 등이 그것인데, 늘 그 실시 여부를 확인
welfareact.net
상기의 기타 법정 의무교육 등을 추가한다면 충분히 24시간 이상의 신입직원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해당 교육의 시간이 2시간으로 늘어난다면 교육 시간은 더욱 많아질 것이다.
덧붙여 직원이 연내에 입사해 중도퇴사하는 경우 의무교육의 이수는 시설의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신입직원교육에서 해당 의무교육들을 기간내 모두 이수토록 한다면, 이러한 위험부담에서도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이다.
'[정보] 복지 이야기 > [福] 복지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시설 공통업무 일정 관리 (0) | 2021.04.23 |
---|---|
집단급식소 입찰에 따른 기안 및 공고 예시 (1) | 2021.03.25 |
사회복지시설장(관장) 인수인계서 (0) | 2020.12.17 |
사회복지시설 채용면접의 실제 (0) | 2019.11.29 |
청소년의 性 통계 바로 알기 (0) | 2019.09.30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