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2014/04에 해당되는 글 8건
- 2014.04.09 logos와 pathos
- 2014.04.07 IFSW/IASSW 사회복지 정의(안) 3
- 2014.04.04 왜 사람들은 자살하는가?
글
logos와 pathos
조승연의 「이야기 인문학」(감영사)에 보면,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를 인용해,
"~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데는 '로고스 logos'와 '페이소스 pathos'가 있다~~"
이때 logos는 말을 조리있게 해서 똑똑하다는 인식을 통해 나를 따르게 하는 방식이며,
pathos는 감동을 받아 눈물을 흘리게 함으로써 사람을 내 편으로 만드는 방식이다.
사회복지에서 사람을 변화시킨다는 것..
우리가 천착해온 logos 즉 전문지식과 기술 물론 그것도 중요하겠지만, 때로는 비전문적이라 간과하고 무시했을 지 모르는 pathos가 정작 더 중요한 것은 아니었던가라는 생각이 든다.
클라이언트를 내 편으로 만들어서 클라이언트와 함께 사회복지를 일궈 나가는 것.
어쩌면 이미 잘 알고 있었음에도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는 채 인식 못했던 것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본다.
'[글귀] 마음을 담다 > 나누고 싶은 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의칙' 저버린 보건복지부가 간호사들의 진짜 사용자 (0) | 2023.07.26 |
---|---|
온고지신 (0) | 2023.07.05 |
왜 사람들은 자살하는가? (0) | 2014.04.04 |
방문객 : 사회복지시설을 찾는 이들을 맞는 우리의 자세 (0) | 2013.07.26 |
불편한 진실? "여왕의 교실" 언어폭력인가, 진정한 교육인가? (1) | 2013.06.1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IFSW/IASSW 사회복지 정의(안)
IFSW/IASSW가 사회복지의 정의를 개정한다고 한다.
오는 7월 호주에서 열리는 IFSW(국제사회복지사연맹) 총회에서 최종 의결과정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라고 하는데...
[출처] 한국사회복지사협회 http://www.welfare.net/site/ViewIntroNotice.action?brd_cmd=ViewArticle&brd_boardId=intro_notice_10&brd_articleId=117300
그 원문을 살펴보았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는 이 문장의 해석을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사회복지는 실천에 기반을 둔 전문직이며 사회변화와 발전, 사회통합, 그리고 인간의 역량강화와 해방을 촉진하는 학문이다. 사회정의, 인권, 집단적 책임과 다양성 존중의 원칙은 사회복지의 중심이다. 사회복지는 사회복지와 사회과학 이론, 인문학과 토착 지식에 근거하며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인간과 구조를 연계한다.
그런데 이 내용을 읽어 나가면서 뭔가 조금 어색하다.
그래서 나름대로 다시 번역해 보았다.
본문은 크게 세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첫째는 영역, 둘째는 핵심원칙, 셋째는 역할을 밝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대해서는 최종(안)이 확정되고나면 다시 한번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회정의, 인권, 공동의(collective) 책임과 다양성 존중의 원칙은 사회복지의 핵심이다.
사회복지학·사회과학·인문학·지역고유(indigenous)지식에 기반하여, 사회복지는 삶의 문제 해결과 안녕(wellbeing)을 증진하기 위해 사람(people)과 사회구조(structures)에 개입(engage)한다.
1. liberation : 해방 외에 적당한 표현이 우리말엔 없다. 의미상으로는 차별금지에 더 가깝지 않은가 싶다. 하지만 여기서도 해방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2. collective는 집단이라는 표현보다는 공공/공동의로 해석하여 연대성에 더 무게를 싣는 것이 좋을 듯하다.
3. indigenous는 토착이라는 표현이 다소 불편하다. 지역고유성으로 풀어쓰는 것이 이해하기 더 쉬울 듯하다.
4. wellbeing을 복지로 번역하면 같은 단어가 계속 되풀이 된다. 안녕으로 해보았다.
5. engages people and structures를 사람(개개인)과 사회구조에 개입한다고 번역해보았다. 사이트에는 인간과 구조를 연계한다고 하고 있다. engage의 해석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people를 인간으로 볼지, 개개인으로 볼지의 해석 논의는 필요하다고 본다.
=====================
혼자 고민해봤다.
영어 전문가가 아니니 내 해석이 옳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
=====================
다른 견해를 참조해서 다시 한번 정의를 다듬어 보았다.
내용은 동일하되, 어순을 한국적으로 재배치해 본 것이다.
사회복지의 핵심은 사회정의, 인권, 공동의(collective) 책임과 다양성 존중에 있다.
사회복지는 사회복지학·사회과학·인문학·지역고유(indigenous) 지식에 기반하며, 삶의 문제 해결과 안녕(wellbeing)을 증진하기 위해 사람(people)과 사회구조(structures)에 개입(engage)한다.
'[정보] 복지 이야기 > [福] 복지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관 사업의 변화 (0) | 2014.12.24 |
---|---|
사회복지시설의 지도점검 조치의 수위와 효력 (0) | 2014.04.14 |
사회복지시설에서의 개인정보보호 가이드 라인 (0) | 2014.01.09 |
사회복지사의 근속기간에 대한 연구 결과 정리 (0) | 2013.11.06 |
사회복지시설에서의 잉여금의 전출은 어떤 경우에 가능한가? (0) | 2013.10.21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왜 사람들은 자살하는가?
「왜 사람들은 자살하는가?」의 저자 토마스 조이너(Thomas Joiner, 심리학자·교수)는,
자살하는 사람은 세가지 심리 조건이 합쳐져야만 자살한다고 말한다.
첫째는 사회적으로 고립되었다고 느끼는 마음,
둘째는 타인에게 짐이 된다는 부담감,
셋째는 두려움이 없는 마음, 즉 고통에 대한 내성이다.
이 세 가지 심리 조건 중 단 하나라도 부족하면 절대 자살하지 않는다.
- EBS <다큐 프라임> ‘33분마다 떠나는 사람들’ 제2부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편
'[글귀] 마음을 담다 > 나누고 싶은 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고지신 (0) | 2023.07.05 |
---|---|
logos와 pathos (0) | 2014.04.09 |
방문객 : 사회복지시설을 찾는 이들을 맞는 우리의 자세 (0) | 2013.07.26 |
불편한 진실? "여왕의 교실" 언어폭력인가, 진정한 교육인가? (1) | 2013.06.14 |
我田引水로 인한 自家撞着을 경계하며.. (0) | 2012.07.1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