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ewenberg와 Dolgoff는 윤리원칙의 우선순위 7가지

반응형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윤리적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Loewenberg와 Dolgoff는 윤리원칙(1996)의 우선순위 7가지를 제시하였다.

원칙1. 생명보호의 원칙
원칙2.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원칙3. 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원칙4. 최소 손실의 원칙
원칙5. 삶의 질 원칙
원칙6. 사생활과 비밀보장의 원칙
원칙7. 진실과 사실을 성실히 알릴 원칙

이와 같은 윤리원칙의 우선순위에 대한 제시는 사회복지사가 실천현장에서 딜레마에 빠졌을 때 적절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윤리적 이슈의 우선순위 체크리스트 ############

사회복지사는 어떤 선택, 행동 혹은 결정을 고려하고 있는가?

1. 이 선택/행동이 생명, 신체적 안녕 혹은 생존기회를 위협하는가?
2. 이 선택이 누군가를 기본적으로 부정의, 불공정, 불공평한 방식으로 다루거나 기본적 인권을 위반하는가?
3. 이 선택이 주요하게 그리고 비합리적으로 누군가의 자기결정권, 자율권을 제한하는가?
4. 이 선택이 누군가의 중대한 개인적 고통 혹은 경제적 곤란을 야기하는가?
5. 이 선택이 이웃, 지역사회 혹은 전체 사회 사람들의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가?
6. 이 선택이 누군가의 사생활과 비밀보장 권리를 잃게 하는가?
7. 이 선택이 개인 혹은 지역사회의 진실을 왜곡하거나 철회하는 것을 포함하는가?

이상과 같은 질문에 A, B라는 각각의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선택을 했을 때, 예/아니오/결정할수없음 이라는 응답을 통해 어떤 대답이 도출되는가에 따라 우리는 윤리적 선택을 위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반응형

Program Evaluation

반응형

Program Evaluation 4/E:an Introduction
카테고리 인문/사회
지은이 Royse (Thomson, 1970년)
상세보기

Royse의 Program Evaluation
프로그램 평가를 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와 방법에 대한 기본서

비록 원서이지만 쉽게 접할 수 있다.
정가가 150,000원이 훌쩍 넘던데.... Paperback으로 잘 찾으면 28,000원도 있다.
책이야 내용이 중요하지 뭐 껍데기가 무슨 소용? ^^


참고로, 개별화된 척도도 표준화된 척도와 비교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그렇게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그에 대한 출처는 Bloom, M., Fisher, J. & Orme, J. G.(2007). Evalution Practice. / 김용석 외(역), 실천평가, p.228-229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