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2015/07에 해당되는 글 4건
- 2015.07.21 구슬처럼 마음이 따뜻한 사람
- 2015.07.20 [한글 맞춤법] "데"와 "대"의 용법 차이
- 2015.07.20 폰트 파일에 대한 저작권 바로 알기
- 2015.07.02 사회복지시설에서의 소독 의무
글
구슬처럼 마음이 따뜻한 사람
구슬처럼 마음이 따뜻한 사람 瑥
평온할 穩
따뜻할 溫
어질 昷
'[글귀] 마음을 담다 > 記憶하고 싶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 중에서 學·習·悅 (0) | 2016.02.16 |
---|---|
사람은 말에 의해 고무되고 분발하게 된다 (0) | 2015.12.23 |
2014년 부산 사회복지사대회 「락(樂)」 퍼포먼스 (0) | 2015.01.05 |
거리와 커뮤니케이션의 상관관계 (0) | 2014.06.11 |
훈민정음과 사회복지 (0) | 2014.04.28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한글 맞춤법] "데"와 "대"의 용법 차이
헷갈리던 내용을 쉽게 설명해주네요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164919&code=11131100&cp=du
이제 헷갈리지 않을것 같습니다. ^^
구분 |
데 |
대 |
의미 |
~더라 |
~다고 해 |
용법 |
과거, 직접, 장소 |
의문, 간접 |
<예시>
데
- 지금 가는 데가 어디죠?
- 그 책을 읽는 데 이틀이 걸렸다.
- 머리 아픈 데 먹는 약
대
- 어디까지 왔대?
- 아직 출발도 못 했대
- 누나도 오겠대?
- 그녀는 작년에 결혼했대
- 어쩜 신부가 저렇게 예쁘대
- 하지도 안 됐는데 왜 이리 덥대
'[정보] 잡동사니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사산이 뭉개진 나사/볼트 제거하기 (0) | 2020.10.13 |
---|---|
-세, -료, -비의 비교 (0) | 2019.04.12 |
폰트 파일에 대한 저작권 바로 알기 (0) | 2015.07.20 |
개인정보 보호와 서명에 대한 단상 (0) | 2014.10.15 |
갑바의 표준어 (2) | 2014.10.01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폰트 파일에 대한 저작권 바로 알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폰트 파일 사용에 따른 저작권 관련 해석을 명쾌히 정리해주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www.mcst.go.kr/web/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2626
이 중 핵심은 다음 한줄로 요약할 수 있다.
"직접 폰트 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그 결과물을 이용한 것에 불과한 경우와 저작권법을 위반한 것이 아니다."
웹페이지, 소식지 등에서 사용된 폰트들이 있는데, 이는 통상 외부에 의뢰를 하여 만들게 된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자료물들에 활용된 폰트는 우리가 구입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저작권법 위반이 아니라는 뜻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링크에서 직접 다운 받아서 확인토록 하자!
'[정보] 잡동사니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 -료, -비의 비교 (0) | 2019.04.12 |
---|---|
[한글 맞춤법] "데"와 "대"의 용법 차이 (0) | 2015.07.20 |
개인정보 보호와 서명에 대한 단상 (0) | 2014.10.15 |
갑바의 표준어 (2) | 2014.10.01 |
인터넷 우표를 아시나요? (0) | 2014.02.18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사회복지시설에서의 소독 의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소독의 의무를 밝혀 명시하고 있다.
② 공동주택, 숙박업소 등 여러 사람이 거주하거나 이용하는 시설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관리ㆍ운영하는 자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감염병 예방에 필요한 소독을 하여야 한다. <개정 2010.1.18>
③ 제2항에 따라 소독을 하여야 하는 시설의 관리ㆍ운영자는 제52조제1항에 따라 소독업의 신고를 한 자에게 소독하게 하여야 한다. 다만, 「주택법」에 따른 주택관리업자가 제52조제1항에 따른 소독장비를 갖추었을 때에는 그가 관리하는 공동주택은 직접 소독할 수 있다.
제83조(과태료)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 제51조제2항에 따른 소독을 하지 아니한 자
한편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르면, 해당시설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중 사회복지시설과 관련이 있을 두가지 시설의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6. 한 번에 100명 이상에게 계속적으로 식사를 공급하는 집단급식소
12. 「영유아보육법」에 따른 어린이집 및 「유아교육법」에 따른 유치원(50명 이상을 수용하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만 해당한다)
즉,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거나, 100인 이상에게 식사를 제공하느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경우는 반드시 소독을 해야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소독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④ 법 제51조제2항에 따라 소독을 하여야 하는 시설을 관리·운영하는 자는 별표 7의 소독횟수 기준에 따라 소독을 하여야 한다.
이제 확인해야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평균적으로 2개월에 1회 이상의 소독을 실시하고 있는지, 그리고 해당업체가 등록된 업체인지이다.
소독을 하고 있지 않다면 과태료 부과 대상이기 때문에 즉시 실시하도록 하고, 실시하고 있다면 업체로부터 등록업체라는 증빙서류를 꼭 챙겨두도록 하자.
'[정보] 복지 이야기 > [安] 시설안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시설 외벽 난연재료 적용 여부에 관한 건 검토 (0) | 2020.11.30 |
---|---|
사회복지시설의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적용 (0) | 2019.01.17 |
석면건축물안전관리인의 업무 (0) | 2014.03.24 |
사회복지관에서의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0) | 2014.03.03 |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1) | 2014.02.10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