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영가설 기각의 의미

반응형

앞서 언급했지만, 다소 익숙치 않은 영가설 기각에 대해 좀더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가설 채택과 기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표현 그대로 가설을 채택한다는 말은 내가 주장하고자 하는 가설이 사실로 입증되었다는 말이며, 가설을 기각한다는 말은 해당 사실을 조사결과를 통해 입증할 수 없었다는 말이다. 이를 가설 검정(檢正, test)이라고 한다.
영가설이 ‘차이가 없다’는 가설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영가설이 기각된다는 말은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말한다.

p value와 영가설 기각

이때 영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는 말이 영가설을 채택한다는 뜻이 아님을 주의해야한다. 때문에 영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한걸음만 더 나아가보자. 영가설이 기각되면, 차이가 있다는 대립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 이는 확률적으로 보았을 때 해당결과가 단순한 우연으로 발생되었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편 여러 가지 이유로 우리는 영가설이 참임에도 이를 기각하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제1종 오류(Type 1 error)라고 한다. 거짓(僞)양성 또는 알파(α)오류라고도 부른다.
반대로 대립가설이 참인데, 영가설을 채택하는 오류를 제2종 오류(Type 2 error) 또는 베타(β)오류라 부른다.

제1종 오류, 제2종 오류

이를 영가설의 개념으로 다시 구성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종 오류, 제2종 오류

조금더 쉽게는 『양치기소년』이라는 이솝우화를 들어 설명해 볼 수 있다. 양치기 소년은 늑대가 없음에도 늑대가 나타났다(있다)고 소리쳤다. 즉 실제 상황은 영가설이 참(늑대가 없음)인데, 이를 기각함으로써 오류가 발생했다. 이를 제1종 오류라고 부른다.
통계에서는 가설검정시 이런 제1종 오류를 5% 이내로 설정하는데, 이를 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 α)이라한다.
혹자는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를 비교하면서 어떤 것의 위험성이 더 큰가를 설명하기도 한다. 그리고 의약품 개발을 예를 들어 제1종 오류가 더 위험성이 크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는 상대적인 것으로 꼭 그리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종 오류를 범할 확률(유의수준, α)을 줄이면 제2종 오류를 범할 확률(β)이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가설검정을 수행할 때에는 어떤 유형의 오류가 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지 비교·반영하여 유의수준과 검정력을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반응형